본문 바로가기
탱이일상/창업·부업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차이점

by 해피탱 2023. 5.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는 직접 사업자등록 신청을 해보았습니다.

사업자등록 신청 시 '일반, 간이, 면세' 사업자로 나뉘어 있었는데요

면세사업자는 이름과 같이 세금이 면제된다의 의미로 알겠는데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오늘은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가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참고사항 : 본 포스팅은 2023년을 기준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

 

차이점은

1. 규모

2. 부가가치세

 

요 2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1. 규모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를 나누는 기준은 연매출액 8,000만원(부가세포함)입니다.

8,000만원 미만인 경우 간이과세자가 되고 8,000만원 이상인 경우는 일반과세자가 되는 것이죠

여기서 말하는 8,000만원은 대표가 소유한 사업체 모든 매출을 말합니다.

예시) 홍길동 대표가 사업자등록한 A사업장 매출액 5,000만원, B사업장 매출액 4,000만원 인 경우

A,B사업장 매출액의 합은 9,000만원이므로 A,B 사업장 모두 일반과세자로 등록해야 합니다.

 

 

* 추가 :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없는 업종이나 지역이라면 매출액과 상관없이 일반과세자로 등록해야 합니다.

예시로 부동산임대업 및 과세유흥장소는 매출액 기준이 4,800만원으로

매출액이 4,800만원 미만이면 간이과세자 매출액이 4,800만원 이상이면 일반과세자로 분류됩니다.

 

 

* 참고 : 간이과세자의 적용 범위 참조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2.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차이가 명확하죠?

어떤 과세자로 분류되느냐에 따라 부가세 신고 납부 기간이 달라지고 세율,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등의 내용이 달라집니다.

 

위 표에서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율은 업종별로 1.5~4%로 적어놓았는데

아래 표에는 업종별로 부가가치율이 다릅니다.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바로 매출액 x 업종별 부가가치율 x 10%로 계산하시면 위 부가가치세율이 나옵니다.

 

예시1) 소매업 부가가치율 15% x 10% = 1.5% 로 계산되는 것이지요

 

 

예시2) 소매업의 부가세액 계산

매출액 1,000만원, 매입액 300만원의 경우

- 매출세액 1,000만원 x 10% x 15%=150,000원

- 매입세액 300만원 x 0.5% = 15,000원

이지만 연매출 4,800만원 미만이므로 부가세 납부 의무는 면제되는 것이죠!

(납부 면제되어서 신고는 하셔야 합니다.)

 

 

자 오늘은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법은 한국말로 써놓았는데 외국어처럼 보이네요 ㅎㅎ

모두 제 글을 보시고 잘 이해하셨기를 바라며 이만 글 마치겠습니다.

 

 

구독과 공감은 사랑입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