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지원업무

4대보험 상실신고 취소하는 방법

by 해피탱 2023. 4. 12.
반응형

 

 

회사 업무를 하다 보면 많은 일들이 발생하게 되죠

얼마 전 퇴사한 직원이 있었는데요

4대 보험 상실신고 등 퇴사처리를 다 진행했는데

회사랑 이야기가 잘되어 퇴사가 취소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사실 이런 경우는 상실신고하였다가 다시 취득신고하여 입사처리하면 되겠지만

업무담당자의 실수로 엉뚱한 직원을 퇴사처리한 경우도 있죠

 

이러한 경우들을 위해 4대 보험 상실신고 취소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 순서

1. 고용산재보험 상실신고 취소

2. 건강보험, 국민연금 상실신고 취소

 


■ 고용보험, 산재보험 상실신고 취소

 

 

1.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및 로그인

total.comwel.or.kr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total.comwel.or.kr

 

 

2. 민원접수/신고 → 자격관리 → 피보험자ㆍ고용정보 내역 취소 신청

 

 

3. 서식 작성하기

 

1) 회사 정보를 입력

2) 피보험자 고용정보 취소내역에서 신고구분은 상실(고용종료)취소 선택

3) 보험구분(고용보험, 산재보험) 선택

4) 상실(고용종료)신고 취소하고자 하는 근로자 내역 입력 및 내용확인 후 대상자 추가 버튼 클릭

5) 회사 계좌정보 입력

6) 화면 맨 아래에 신고자료검증접수버튼 클릭

 

 

4. 다음화면에 접수완료 확인 및 서식인쇄

 

여기까지 하셨다면 정상적으로 신고하신 것입니다.

 


 

■ 건강보험, 국민연금 상실신고 취소

 

 

1. 건강보험 EDI 접속 및 로그인

edi.nhis.or.kr

 

건강보험공단 EDI포털

 

edi.nhis.or.kr

 

 

2.  메인화면 중앙에 '신고/제증명 바로가기' 버튼 클릭 후 '자격취득 신고' 클릭

 

 

3. 직장가입자 자격 취득 신고서 작성

 

그림 ①번_내용 입력

1) 신청구분 : 국민연금, 건강보험

2) 상실신고 취소처리 근로자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입력

3) 국민연금 : 소득월액 입력, 취득일(상실일자), 취득부호(15. 상실취소), 취득월납부여부(1. 희망)

4) 건강보험 : 소득월액 입력, 취득일(상실일자), 취득부호(30. 상실취소/착오나 사정변경으로 자격상실신고를 취소하는 경우)

 

그림 ②번_ 대상자추가

 

그림 ③번_신고(전송)/신청

 

 

 

 

저는 건강EDI에서 모두 정상적으로 신고 완료하였는데

어떤 지역은 팩스로 신고해야 한다는 곳도 있었어요!

 

업무에 참고하시를 바랍니다

 

 

 

지금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